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뇌전증의 분류, 뇌전증발작과 비뇌전증발작과의 감별진단, 혼수 소아 경련 중 웨스트증후군(=영아연축)은 발작의 임상 양상이 매우 특징적이다. 영아연축은 주로 사지 근육이 짧고 급작스러운 수축을 일으킨다. 이 수축은 수 초 동안 지속되고 몇 분 동안 불규칙하게 재발하기도 한다. 발병 연령은 주로 출생 후 1~3개월의 영아 초기로 임상 증세는 목, 몸통 및 다리 등이 동시성으로 꺾여 충격을 받는 듯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영아연축을 일으키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한다. 첫째는 발병 직전까지 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는 원인불명의 영역이고, 둘째는 발병에 관계되는 질환이나 병변이 있는 경우로 분만 당시의 뇌 손상, 선천성 이상 등이 주된 원인이다. 레녹스 - 가 스타우트 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 1~10세 사이.. 2023. 12. 9.
뇌전증(간질, Epilepsy)_part3 수술 중 피질뇌파검사(intra operative Electrocorticography, ECoG) : 뇌전증 수술 중에 신경과 뇌전증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서 대뇌겉질에 전극을 올려놓고 뇌파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아직 국내에서는 일부 병원에서만 시행되고 있다. ECoG는 간질 초점을 찾고, 간질 발생과 관련이 없는 뇌 조직은 최소한 절제하며, 절제해야 할 부위를 정확히 찾기 위해서 시행한다. ECoG를 시행할 때 마취과 의사의 도움으로 마취약의 농도를 낮추어 정상적인 같질 뇌파 리듬이 회복된 후 기록해야 한다. 전기적 피질 자극 검사 : 뇌 자극 검사(brain stimulation)라고도 부르는데 두개강 내에 경막하 전극을 삽입 후 비디오-뇌파검사실에서 또는 수술장 내에서 시행한다. 간질 초점 및 주변.. 2023. 12. 2.
뇌전증(간질, Epilepsy)_Part2 뇌전증 발작과 유사한 비 뇌전증성 발작이 상당히 많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실신, 과호흡 증후군, 가상 발작을 뇌전증으로 오진하여 평생 치료받는 불행한 환자도 상당수 있다. 그러므로 뇌전증 발작이 의심되는 환자의 진찰 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중점적으로 조사되어야 한다. 첫째, 문제가 되는 발작이 뇌전증성 발작인지 혹은 비 뇌전증성 발작인지를 구별해야 하며 둘째, 뇌전증성 발작이라면 어떤 유형의 발작인지를 알아야 하며, 셋째, 뇌전증 발생이 뇌의 어느 부위에서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해야 하며, 넷째, 특수한 뇌전증 증후군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여러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축적성 질환, 소아기 및 청소년기의 신경섬유종증, 결절성 경화증 등도 진찰에 의해 .. 2023. 11. 29.
이상뇌파 파형 & 뇌전증(간질, Epilspsy)_part1 이상 뇌파는 정상 뇌파를 제외한 것이라 말할 수 있고, 이상 뇌파는 각성 안정 시에 특별한 부활법 없이 이상소견이 출현하는 것과 부활법에 의한 반응으로 정상범위를 벗어난 이상소견이 나타나는 것이 있다. 돌발성극 파계 이상파와 간헐성 느린 돌발 파(slow burst) : 극 파(spike)는 끝이 뾰족한, 날카로운 형태의 파로 갑자기 솟아오르는 파로 그 지속시간이 80msec 이하의 것을 말한다. 진폭의 모양은 여러 가지지만, 눈에 뚜렷이 나타나는 것으로는 배경 활동의 배 이상으로 100~150µV를 넘는 것도 많이 있다. 예파(sharp wave)는 극파와 같은 날카로운 형태를 하고 있지만, 그 지속시간이 80~200msec으로 진폭에 관해서는 극파와 마찬가지로 정해진 기준은 없다. 다극파(polysp.. 2023.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