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전도검사2

신경전도검사_기초이론2 & 운동신경전도검사 신경의 흥분과 활동 전압의 전도: 신경세포의 흥분에 있어 세포질은 세포의 외핵에 비해 물질의 조성과 농도에 차이를 나타낸다. 세포 내부는 음전하로, 외부는 양전하로 대전 되어 있어 항상 일정한 전위차를 유지한다. 이를 안정막전위라 하는데 신경세포의 경우 대략 -70mV, 근세포는 -80mV의 일정한 전위차를 유지한다, 이때 Na+은 세포 외부에 약 10배 더 많고 K+이온은 세포 내부에 더 많다. 이 상태를 분극 되었다고 하며 휴지전위라 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신경계나 외부로부터 역치를 넘는 자극이 주어지면 탈분극이 일어나 활동전위가 발생하게 되어 세포 내부가 오히려 양전하를 나타낸다. 이 막전위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재분극이 발생하며 다시 안정 막전위로 회복하게 되므로 세포 내에서 기록되는 활동전.. 2024. 2. 24.
신경전도검사_기초 이론 신경전도검사(nerve conduction study, NCS)는 말초신경계의 기능을 간접적, 비침습적으로 평가하는 전기진단학적 검사의 한 분야이다. 그 자체만으로 질병을 확진할 수 없으며, 환자의 병력과 진찰 소견이 없이는 정확한 검사의 방향을 설정하기도 어렵고, 그 검사의 해석에서도 혼선이 생기거나 예기치 않게 진단의 지연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신경의 병리 생리적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신경병증의 진단에 필수적이다. 신경전도검사는 근전도검사라는 범주에 속해 있는 검사로 의료기사법에 따라 임상병리사가 시행하며, 검사자의 숙련도와 임상적 지식 그리고 경험에 의하여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검사이다. 따라서 검사자의 충분한 훈련과 임상적 지식의 습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신경계통은 내적, 외적 .. 2024. 1. 28.